사우디 왕세자 방한 계기,
제조·에너지 신산업분야 협력강화를 위한 실질적 기반 구축
조선, 자동차, 석유화학, 에너지 신산업 분야 MOU 등
총 10건의 83억불 규모의 MOU 및 계약 체결
산업통상자원부(장관: 성윤모)는 사우디의 실권자인 「모하메드 빈 살만」 (Mohammed Bin Salman) 사우디 왕세자의 한국 방문 계기에, 산업·에너지 분야에서 양국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.
* 이번 사우디 왕세자의 방한은 `98년 압둘라 왕세제 방한이후 21년만에 이루어진 사우디 왕위계승자의 방한이자, 모하메드 왕세자의 최초 방한
이번 방한 계기로 양국은 아람코가 투자한 S-Oil 5조원 규모의 석유화학 공장 준공기념식 이외에 약 83억불 규모의 양해각서 및 계약을 10건을 체결하고, 기업인 행사를 개최하는 등 양국 간 경제협력을 강화하였다.
[ 방한 주요 결과 ]
① 정부간 협력(G2G 협력) : 2건
금번 사우디 왕세자 방한 계기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알팔레 (Khalid Al-Falih) 사우디 에너지산업광물자원부장관과 자동차 및 수소경제 분야에 관한 양해각서(MOU)를 정상임석하에 체결하고 동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하였다.
(자동차 협력) △친환경차 기술협력, △자동차 부품개발, △사우디 진출 관심 기업 발굴 등을 합의
(수소 경제 협력) △수소생산, 저장, 운송 기술협력(액화 등), △수소차, 연료전지, 충전소 보급 및 활용, △표준 및 모범사례 등을 합의
이를 계기로, 향후 친환경 및 내연기관 자동차, 수소 에너지 공급망 확보, 수소 연료전지 등 분야에서 우리기업의 중동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.
② 기업·기관간 협력(B2B 협력) : 8건
또한, 정부간 협력외에 S-Oil, 현대중공업, 현대오일뱅크, SK, 현대차, 한국석유공사, 로봇산업진흥원 등 국내 기업 및 유관기업들도 사우디 국영석유회사는 아람코 등과 83억불 규모의 MOU 및 계약을 체결하여, 석유 및 석유화학, 선박, 로봇 등 분야에서 투자, 기술협력 등을 위한 협력 기반을 마련하였다.
<기업·기관간 MOU 또는 계약 : 8건 83억불 규모 >
기업·기관간 MOU 또는 계약
1
|
폴리프로필렌 컴파운딩
프로젝트 MOU
(PP Compounding Project)
(한) SK가스 - (사) AGIC* |
|
· 4천만불 규모의 합작투자 통해 사우디(Jubail)에 연간 10만톤 PP 컴파운딩 생산 공장 건설
|
타당성조사 통한
사업성 검토 |
2
|
프로판 탈수소화 폴리프로필렌
프로젝트 MOU
(PDH-PP Project)
(한) SK가스 - (사) AGIC |
|
· 약 18억불 규모의 합작투자 통해 사우디(Jubail)에 연간 각각 75만톤 프로필렌/폴리프로필렌 공장 건설
|
타당성조사 통한
사업성 검토 |
3
|
석유분야 협력
(한) 한국석유공사 - (사) 아람코
|
|
· 국제공동비축 등 협력방안 모색
|
에너지협력
|
4
|
석유화학 협력 MOU
(한) 현대오일뱅크 - (사) 아람코
|
|
· 석유화학 분야 R&D 검토
|
에너지협력
|
5
|
로봇산업 협력 MOU
(한) 로봇산업진흥원 - (사) 왕립기술원
|
|
· 로봇 관련 세미나 공동 개최, 전문 지식·경험 공유 등 협력
|
기술협력
|
6
|
수소차 협력 MOU
(한) 현대자동차 - (사) 아람코
|
|
· 미래차 기술협력 등 포괄적 협력
|
기술협력
|
7
|
선박엔진공장 합작투자 계약
(한) 현대중공업 - (사) 아람코
|
|
· 킹살만 조선소內 선박엔진공장 설립 계약
|
4.2억불 투자
|
8
|
S-Oil-아람코 투자협력 MOU
(한) S-Oil - (사) 아람코
|
|
· S-Oil – 아람코 투자협력
|
S-Oil의 60억불
투자관련 협력
|
* AGIC(Advanced Global Investment Company)는 사우디 석유화학기업인 APC(Advanced Petrochemical Company)의 자회사 ** SK가스 합작투자 MOU(1,2번)는 검토 초기단계이며 양사간 구속력이 없음
③ 협력의 제도화
한편, 금번 왕세자 방한 계기 사우디 투자청은 대한상의, 코트라 등과 기업인 행사를 개최하고 제조․에너지 등 분야에 대한 기업인들간 의견 교환 및 기업간 교류의 장을 마련하였다.
특히 이번 행사 계기에, 한국과 사우디간 「비전 2030*」의 협력 사업을 현지에서 이행 및 점검을 담당하는 ‘비전 오피스’(VRO: Vision Realization Office) 개소를 정식 선포하였다.
* 탈석유 산업다각화를 위해 사우디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가 주도하는 경제 정책으로서 우리나라는 중점 협력국으로 선정되어 ①제조 에너지, ②디지털화 스마트인프라, ③역량강화, ④보건 생명과학, ⑤중소기업 투자 등 5대 분에서 자동차, 선박, 신재생, 스마트시티․공항, ICT, 정책연수, 건강보험, 중소기업 육성 등 40여개의 협력사업 추진중
향후에는 비전 오피스를 중심으로 양국간 협력사업의 이행을 점검하는 한편 현장에서의 애로를 파악하여 해소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.
[ 평가 ]
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“이번 방한을 통해 한국과 사우디 양국은 조선, 석유화학 등 제조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, 로봇, 친환경 자동차 등 고부가 가치 신산업 분야와 수소에너지 분야로 협력을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”하였다고 평가하였다.

|